
중소기업 세금 혜택, 중소기업 창업 세금, 중소기업 창업 혜택
중소기업 창업 시 세금 혜택 유형은?
2023.03.17
![## 양도소득세 ■ 양도소득세란 자산에 대한 등기 또는 등록에 관계없이 매도·교환·법인에 대한 현물출자 등으로 인해 그 자산이 유상으로 이전되는 경우 부과되는 세금을 말합니다. |구분 |내용 | | --- | --- | 과세기준일|• 해당 자산의 대금을 청산(잔금을 완불)한 날 | | |과세표준 |• 양도소득금액에서 양도소득 기본공제(연간 250만원)를 한 금액<br>- 양도소득금액 = 양도차익-장기보유특별공제액(양도차익 × 장기보유특별공제율)<br>- 양도차익 = 양도가액(실지거래가액)-(취득가액 + 그 밖의 필요경비) |세율 |• 양도소득세는 양도소득과세표준에 다음의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함<br>- 토지 및 건물의 양도 또는 부동산에 관한 권리의 양도로 발생하는 소득: 「소득세법」 제55조제1항에 따른 세율(분양권의 경우에는 양도소득 과세표준의 60%)<br>- 보유기간이 1년 이상 2년 미만인 것: 양도소득 과세표준의 40%[주택(「소득세법 시행령」 제167조의5에 따른 토지를 포함), 조합원입주권 및 분양권의 경우에는 60%]<br>- 보유기간이 1년 미만인 것: 양도소득 과세표준의 50%(주택, 조합원 입주권 및 분양권의 경우에는 70%)<br>- 비사업용 토지<br>- 미등기양도자산: 양도소득 과세표준의 70% | | | 가산세 |• 납세의무자가 법정신고기한까지 예정신고 및 중간신고를 포함하여 세법에 따른 국세의 과세표준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양도소득세액의 20% | <br> ## 종합부동산세 ■ 종합부동산세란 과세기준일 현재 전국의 주택 및 토지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인별로 합산한 결과, 그 공시가격 합계액이 과세기준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대하여 과세되는 세금입니다. |구분 |내용 | | --- | --- | |과세기준일 |• 매년 6월 1일 | |납부의무자 |• 주택에 대한 납부의무자 : 과세기준일 현재 주택분 재산세의 납세의무자<br>• 토지에 대한 납무의무자 : 과세기준일 현재 토지분 재산세의 납세의무자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자<br>- 종합합산과세대상인 경우 : 국내에 소재하는 해당 과세대상토지의 공시가격을 합한 금액이 5억원을 초과하는 자<br>- 별도합산과세대상인 경우 : 국내에 소재하는 해당 과세대상토지의 공시가격을 합한 금액이 80억원을 초과하는 자 | |납세지 | • 종합부동산세의 납세의무자가 개인 또는 법인으로 보지 않는 단체인 경우 : 거주자의 주소지 또는 비거주자의 국내사업장의 소재지<br>• 종합부동산세의 납세의무자가 법인 또는 법인으로 보는 단체인 경우<br>-내국법인의 납세지 : 법인의 등기부에 따른 본점이나 주사무소의 소재지<br>-외국법인의 납세지 : 국내사업장의 소재지<br>• 종합부동산세의 납세의무자가 비거주자인 개인 또는 외국법인으로서 국내사업장이 없고 국내원천소득이 발생하지 않는 주택 및 토지를 소유한 경우 : 그 주택 또는 토지의 소재지 | <br> ## 취득세 ■ 취득세란 부동산의 매매·교환·상속·증여·기부·법인에 대한 현물출자, 건축, 개수, 공유수면의 매립, 간척에 의한 토지의 조성 등과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취득으로서 원시취득·승계취득 또는 유상·무상의 모든 취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을 말합니다. ``` △ 지방세법 제6조(정의) 취득세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취득”이란 매매, 교환, 상속, 증여, 기부, 법인에 대한 현물출자, 건축, 개수(改修), 공유수면의 매립, 간척에 의한 토지의 조성 등과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취득으로서 원시취득(수용재결로 취득한 경우 등 과세대상이 이미 존재하는 상태에서 취득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승계취득 또는 유상ㆍ무상의 모든 취득을 말한다. ``` ## 등록세 ■ 등록세란 재산권과 그 밖의 권리의 설정·변경 또는 소멸에 관한 사항을 공부에 등기하거나 등록하는 경우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 △ 지방세법 제24조(납세의무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등록면허세를 납부할 의무를 진다. 1. 등록을 하는 자 2. 면허를 받는 자(변경면허를 받는 자를 포함한다). 이 경우 납세의무자는 그 면허의 종류마다 등록면허세를 납부하여야 한다. ```](/_next/image?url=https%3A%2F%2Fd1tgonli21s4df.cloudfront.net%2Fupload%2Fseo%2Flawinfo%2F20230309053512172.jpg&w=828&q=100)
양도소득세, 종합부동산세, 취득세, 등록세
부동산거래 할 때 어떤 세금 발생하나요?
2023.03.09

중소기업, 세제혜택, 중소기업기본법, 조세특례제한법
중소기업 세제혜택 받기 위해서는?
2023.03.09

외국인투자, 조세감면
외국인투자도 조세감면 받나요?
2023.03.09

중복 세무조사
중복 세무조사는 위법일까?
2023.03.08

개인사업자, 법인, 법인전환, 조세특례제한법, 세제혜택
개인사업자도 법인전환 가능해요
2023.03.08

동업기업과세특례제도, 동업기업, 동업자
동업기업이라면 과세특례 받으세요!
2023.03.08

조세, 국세, 관세, 지방세
우리나라 조세체계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2023.03.07

조세법, 상속세, 거주자, 비거주자
조세법상 '거주자'란?
2023.03.07

조세포탈, 세금계산서, 이중 장부, 재산은닉, 특정범죄가중처벌
조세포탈하면 어떤 처벌 받나요?
2023.03.07
![## 실질과세원칙 배경 ■ 세법은 국민의 재산권과 직결된 법령이므로 <span style='background-color: #F7DDBE'>조세법률주의 엄격해석 원칙을 그대로 적용하면 법적 형식과 경제적 실익의 괴리가 발생</span>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국세기본법에서는 <span style='background-color: #F7DDBE'>조세회피행위를 방지하고 과세형평을 구현하고자 실질과세원칙의 개념을 규정</span>하고 있습니다. ## 실질과세원칙 규정 ``` △국세기본법 제14조(실질과세) ① 과세의 대상이 되는 소득, 수익, 재산, 행위 또는 거래의 귀속이 명의(名義)일 뿐이고 사실상 귀속되는 자가 따로 있을 때에는 사실상 귀속되는 자를 납세의무자로 하여 세법을 적용한다. ② 세법 중 과세표준의 계산에 관한 규정은 소득, 수익, 재산, 행위 또는 거래의 명칭이나 형식과 관계없이 그 실질 내용에 따라 적용한다. ``` ## 실질과세원칙 효용 ■ 과세관청에서는 개별 세법의 규정으로 다양한 상황의 조세회피행위를 모두 방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질과세원을 통해 조세회피를 방지하고 있습니다. ■ 만약 세법에서 별도의 <span style='background-color: #F7DDBE'>실질과세원칙을 규정하지 않았다면, 오직 법적 형식에 치중한 조세부과가 이루어졌을 것</span>입니다. ## 실질과세원칙-조세법률주의 관계 ■ 하지만 <span style='background-color: #F7DDBE'>실질과세원칙만을 강조하다 보면 조세법률주의 대원칙과 충돌할 우려</span>가 있습니다. ■ 실질과세원칙의 '실질' 개념이 기준이 모호한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법적 형식을 부인한 과세관청의 자의적인 과세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 ■ 하지만 <span style='background-color: #F7DDBE'>실질과세원칙은</span> 조세법률주의와 대립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span style='background-color: #F7DDBE'>조세법규를 다양한 경제형태에 적용하기 위한 보완책</span>으로 보아야 합니다. ``` 실질과세원칙은 조세법의 기본원리인 조세법률주의와 대립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조세법규를 다양하게 변화하는 경제생활관계에 적용함에 있어 예측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합목적적이고 탄력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조세법률주의의 형해화를 막고 그 실효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조세법률주의와 상호보완적이고 불가분적인 관계에 있다고 할 것이다.[대법원2008두8499, 2012.01.19.] ```](/_next/image?url=https%3A%2F%2Fd1tgonli21s4df.cloudfront.net%2Fupload%2Fseo%2Flawinfo%2F20230307020554298.jpg&w=828&q=100)
실질과세원칙, 조세법률주의
'실질과세원칙'이란?
2023.03.07

조세불복제도, 이의신청, 심판청구, 심사청구, 불복청구기간
조세불복제도 어떤 게 있을까?
2023.03.07